[팩트UP=이세라 기자]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이 5년 내 주택 구매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멤버앤컴퍼니는 자사 ‘리멤버 리서치’를 통해 직장인 1,50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내 집 마련 인식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81.2%)이 ‘5년 내 주택 구매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시장의 통념을 정면으로 뒤엎는 결과라 주목된다.
실제 이러한 강력한 구매 의향은 무주택자(87.6%)뿐 아니라, 유주택자(75.5%)에게서도 동시에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자 부담이라는 단기적 어려움보다 내 집 마련을 통한 장기적 자산 가치 확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장인들의 투자 심리를 명확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강력한 주택 구매 의향의 배경에는 ‘결국 오른다’는 부동산 불패 심리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집 마련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과반 이상인 54.8%가 향후 집값 상승을 전망했다. 이로 인해 고금리 시대에도 레버리지를 적극 활용하려는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기조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내 집 마련에 부족한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54.4%)이 ‘주택담보대출’을 꼽았다. 또한, 구매 계획이 있는 이들 중 3명 중 1명(33.2%)은 이미 ‘1억원 이상~3억원 미만’의 종잣돈을 마련했다고 답했다.
다만, 내 집 마련의 구체적인 목적을 들여다보면 결혼 여부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존재했다. 기혼 응답자는 주택을 ‘실거주(52.3%)’와 ‘투자(47.7%)’ 모두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미혼 응답자의 경우는 ‘실거주(64.1%)’ 목적이 과반을 훌쩍 뛰어넘었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입장차도 크다. 현 부동산 정책 규제에 대해 기혼 응답자의 74.7%가 ‘과도하다’ 또는 ‘적절하다’와 같이 명확한 입장을 가진 반면, 미혼 응답자는 '잘 모르겠다(39.2%)'는 유보적인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는 자녀 출산, 양육 등으로 현재의 주거 안정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기혼 층과, 주거의 안정은 중요하지만 상대적으로 미래 과제로 인식할 수밖에 없는 생애주기의 차이로 인한 정책 체감도 차로 분석된다.
주대웅 리멤버 리서치사업실장은 “이번 조사는 시장의 통념을 뛰어넘는 직장인들의 강력한 내 집 마련의 욕구를 보여주는 결과다”면서 “앞으로도 리멤버 리서치만의 정교한 타기팅 조사로 직장인들의 현실적 목소리를 파악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을 돕는 차별화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