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경제분석] 원자재업종 ‘금·은 가격 상승세를 압도하는 광산주 랠리’
[NH투자증권=황병진 연구원] 지난주 온스당 3800달러까지 돌파한 금(Gold) 가격이 거듭 사상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하반기 동안은 가격도 35달러, 40달러에 이어 45달러선까지 탈환해 14년래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제롬 파월 의장(연준)의 ‘단기적으로 노동 시장 위험은 하방, 인플레이션 위험은 상방’ 발언으로 대표 ‘안전자산이자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에의 투자 자금 유입세도 가속화됐다. 연준의 고강도 긴축 종료(2023년 9월) 이후 통화정책 ‘완화(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에 편승해온 귀금속 섹터의 강세 랠리는 2026년까지도 유효할 전망이다. 향후 12개월 귀금속 섹터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확대’로 유지, 금 가격 목표치를 온스당 4500달러로 상향 조정한다. 동 기간은 가격은 4분기 원자재 전망, ‘똑같은 내러티브(에너지보다 금속)’에서 제시한 50달러(사상 최고치) 목표를 유지한다. ◆ “금광과 은광 ETF 랠리 지속 전망” 연초 이후 금과 은 가격이 40~50%대로 상승하는 동안 미 증시에 상장된 금광(Gold Miners)과 은광(Silver Miners) ETF 성과는 +100%를 초과했다. 금·은 가격에 직접 연동되는 SPDR
- 황병진 연구원] 기자
- 2025-09-29 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