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이창민 연구원] 8월 5일 종가 기준 KB증권 2차전지 업종 지수(배터리 셀 3사+양극재 3사 시가총액 합산)는 2025년 초 대비 +9.1% 상승했으며, 전저점 (5/23) 대비로는 +45.2% 반등을 이뤄냈다. 불과 두 달여간 큰 폭의 주가 상승을 시현한 것인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ESS 수요 확대 및 관련 수주 소식을 보면 미국 전기차 시장은 2025년 들어 성장세가 둔화된 모습이다. 반면 미국 ESS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데이터센터 등 AI 관련 수요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 ″업종 지수, 단기 저점 대비 +45% 상승″ 2024년 기준 미국 ESS용 배터리 시장의 87%는 중국 기업들의 LFP 배터리가 차지했다. ESS에서 중요시되는 가격과 안정성에 강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IRA의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의 경우 FEOC 규정이 있기 때문에 OEM들이 중국산 배터리 채용을 꺼려왔으나 ESS는 해당 사항이 없었기 때문에 그동안 중국 업체들의 점유율이 절대적이었다. 반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집권 이후 대중 견제 강화 움직임과 비즈니스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미국 기업들의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중국의 유기실리콘(DMC) 수요는 2021년 118만톤에서 2025년 209만톤으로 CAGR +15% 성장할 전망이다. 참고로 2024년은 전년 대비 +21% 성장했고, 2025년은 전년 대비 +15% 성장이 예상된다. 유기실리콘(DMC)의 주요 전방인 건설⸱건축 업황 부진에 따라 수요 성장률이 낮을 것이라는 시장의 오해를 뒤집는 결과다. DMC는 실록산, 실리콘오일, 실리콘고무, 실리콘겔 등 최종재의 중간 원료다. ◆ ″기존에 없었던 신규 수요 창출 중″ 중국이 전기차⸱배터리, 태양광, ESS의 급속한 시장 확대를 기반으로 세계 최대의 전기화 국가(Electrostate)로 성장하면서 해당 최종재의 사용처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즉, 실리콘은 열전도성⸱절연성⸱내구성이 우수해 전기화 과정에서 필수인 열 관리용 소재로 사용되며 기존에 없었던 신규 수요를 창출 중이다. CATL의 Cell-To-Pack 기술이 적용된 차량은 셀과 냉각판 사이의 열전도를 위해 실리콘 소재가 활용되며 설계 특허에서도 배터리 팩 충격 흡수와 밀폐 성능 구현을 위해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CATL의 ESS 모듈에서도 열 관리, 커넥터 밀봉용, 갭 필
[SK증권=한승한 연구원] 신조선가지수는 186.15pt(-0.51pt), 중고선가지수는 183.78pt(-0.27pt)를 기록했다. 한화오션[042660]은 그리스 신생 선사인 카를로바 마리타임(Carlova Maritime)으로부터 VLCC 1척을 수주했는데 선가는 약 $126m로 추정된다. 프랑스 선사인 CMA-CGM은 최대 12척의 LNG DF 초대형 컨테이너선(21K&24K-TEU급) 발주를 계획하며 최소 5곳 이상의 한국과 중국 조선소들이 수주 경쟁 중이다. 입찰 조선소는 중국의 CSSC 산하 조선소와 헝리, 한국의 조선 3사로 알려지고 있는데 벤처글로벌(Venture Global)은 CP2 Phase 1에 대한 최종투자결정(FID)를 발표 게획이며 조선 3사의 북미 LNGC 수주 릴레이를 기대하고 있다. ◆ ″마스가 프로젝트 이행 위해 TF 구성″ 한국 조선 3사와 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한미 조선협력 패키지인 ′마스가(MASGA)′ 프로젝트 이행을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현재 구체적인 안이 공개되진 않았으나 신규 조선소 건설, 인력 양성, 선박 건조, MRO 등을 포괄할 것으로 전망된다. 펀드 자체가 ′G2G′ 성격이 강하며 조
[NH투자증권=정연승 연구원] 지난 7월 31일, 한국과 미국 정부는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 관세 25%는 15%로 낮아지게 됐다. 이 과정에서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 협력 펀드를 조성해 미국 내 선박 건조, 조선 기자재 공급망 구축, 한미 양국에서 선박 유지보수 확대를 위해서 자금을 투자할 계획이다. 한국 정부의 설명에 따르면, 해당 협력 펀드는 미국 내 조선소 현대화 및 신설, 인력 양성, 공급망 재구축, 선박 유지보수 확대라는 4가지 큰 방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국 정부는 해당 펀드가 한국 기업들의 수요에 기반해 구체적인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이며 직접투자, 대출, 보증 형태로 투자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업들이 미국조선소 투자나 건조 협력을 시행하고 한국 정부가 펀드를 조성해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 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투자 계획과 실행 방안은 정부와 기업 간의 추가 협의를 통해서 마련될 계획이다. ◆ ″한화그룹⸱HD현대그룹이 주도″ 미국 정부가 조속한 시간 내에 선박 건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요청한 만큼 현재 미국 내조선 관련 자산을 확보한 한화그룹과 미국 기업과 협력을 추진 중인 HD현대그룹 중심으
[유진투자증권=황성현 연구원] 국제유가는 2~3 달러/배럴의 상승, 하락을 반복하며 한 달간 박스권을 유지 중이다. 지난달 휴전 발표 이후 원유 기간 스프레드는 지속 축소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OPEC+(석유수출국기구 플러스)의 증산으로 인해 중장기 공급 부담 우려가 가격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 ″강한 숏 포지션은 없는 상황″ 그러나 유종별로는 수요 차별화로 기간 스프레드에서 강세와 약세가 혼재된 흐름을 보이는 중이다. 석유 제품 가격은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고 정제마진도 고점에서 횡보하면서 수요 성수기로 인한 가격 강세도 점점 약해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유가 하단 지지로 강한 숏 포지션은 없는 상황으로 유가의 방향성이 정해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벤트가 발표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 계기를 오는 8월 3일 예정된 OPEC+ 회의라고 보고 있다. OPEC+는 생산량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증산 시기를 지속적으로 앞당기는 중이다. 8월 회의에서 9월 생산량 할당 결정이 예정되어 있으며 현재까지의 흐름을 볼 때 220만 b/d 규모의 자발적 감산과 UAE의 30만 b/d 감산은 종료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계획대로 OPEC+
[유안타증권=이안나 연구원] 지난 7월 22일 미–일 수출품 관세율을 25%에서 15%로 낮추기로 전격 합의했다.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한 나라 중 영국(10%)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다. 현재 EU와는 상호 관세 15% 수준 합의 중에 있는데 과거 트럼프 정부는 8월 1일부터 EU산 수입품에 대해 30%의 상호 관세 부과로 압박하고 있다. 오는 28~29일에 중국과 무역 협상 재개한 이후 31일 한미간 협상도 진행할 예정이다. 트럼프 정부는 8월 1일까지 관세 협상 대부분을 마무리하겠다고 언급했으며 추가 유예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75k에서 감산 모멘텀 소멸될 것″ 시나리오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1.25 %에서 15 %로 절충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 때는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시장 예상 대비 관세 비용 축소, 원화 강세로 수입 원자재 비용 부담 완화, 관세 우려 해소로 인한 수급 안정으로 비중 확대가 유효하다는 얘기다. 다른 하나는 2.25%를 유지할 경우인데 이 때는 중립(현 포지션 유지)을 해야 한다. 2차전지 소재, 부품 등에 대한 비용 증가, 관세 부담 지속으로 인한 수급 회복 속도 둔화로 섹터 중
[NH투자증권=이화정 연구원] 상반기 주요 엔터사 주가는 대체로 안정적인 우상향 흐름을 이어왔다. 하반기 초대형 아티스트 활동 재개가 예정된 가운데 한한령 해제에 따른 중국 공연 재개 기대감이 더해지며 투자심리가 개선되었고, 공연 및 MD 등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확인된 효과다. 하지만 최근 엔터사 주가는 잠시 숨을 고르고 있다. 밸류에이션 부담이 재차 커진 만큼 정당화 근거가 필요한 시점이다. ◆ ″정통 K팝이 서구권 대중에게 통했다″ 단기적 관점에서는 당사 4월 리포트에 언급되었던 중국 공연 재개 및 MD 전략 활성화가 가져올 실적 성장 모멘텀이 그 근거가 되어 왔다.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K팝의 추가적인 성장을 가능케 할 잠재 시장 자체가 필요하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흥행이 K팝의 새로운 잠재 시장을 만들어냈다고 본다. 바로 서구권 대중이다. 현재 ′케이팝 데몬 헌터스′ 콘텐츠및 사운드트랙 모두가 서구권에서 흥행 중이다. 특히 사운드트랙의 경우 BTS, 블랙핑크 등 초대형 아티스트들과 견주어도 전혀 밀리지 않는 성적을 거두고 있다. ′Golden′은 빌보드 Hot100에서 6위, 스포티파이 US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다.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고부가 유기실리콘(Silicone) 산업은 Top 5가 과점 중이다. 일본 Shin-Etsu, 미국 Dow, 독일 Wacker, 한국 KCC(Momentive), 노르웨이 Elkem이 전체 시장의 80~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노르웨이 Elkem은 1분기 실적발표에서 실리콘 사업의 매각 가능성을 거론한 이후, 2분기에는 해당 사업부가 현재 중단사업인 만큼 ′매각 예정 자산′으로 분류했다고 언급했다. 2025년 말 이전을 목표로 전략적 검토를 현재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 ″경쟁력 갖추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최근 뚜렷한 EBITDA 마진율 개선(2Q23 -11% → 2Q24 +1% → 2Q25 +6%)에도 불구하고 사업부 매각을 검토한 이유는 ′경쟁력 개선의 한계′ 때문이다. 실리콘은 자동차, 생활용품, 의료용, 건설/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전방마다 요구하는 물성이 세분화되어 있어 대부분 특허로 보호되어 있다. 실제 KCC(모멘티브)는 전신이 GE로 전 세계에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출원된 특허만 3400개 이상(최근 10년 간 1868건)이다. Elkem은 이렇게 강력한 특허를 뚫고 고부
[유진투자증권=황성현 연구원] 지난 주 정유, 화학, 배터리, 태양광 기업 주가가 대부분 5% 이상 급등했다. 이는 7월 1일 개최된 중국 중앙재정경제위원회 6차 회의 이후 중국의 공급측 구조조정이 가시화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 선물 시장의 대다수 제품 가격 급등이 시작됐으며, 구조조정 기대감이 큰 태양광 폴리실리콘은 5거래일 이상 상승 중에 있다. ◆ ″산업 고도화 방향으로 전개 가능성 높다″ 중국에서는 최근 투자 및 소비 위축으로 디플레이션 압력이 심화되며 수요 촉진만으로는 구조적인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인식이 확산 중이다. 중국 정부는 수급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공급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을 마련해 연내 발표가 예상되고 있다. 2025년 1분기 기준 중국 산업체 평균 가동률은 74.1%이며 이는 이전 공급측 개혁 당시 최저 수준과 유사한 규모이다. 2015년 공급측 개혁은 철강, 석탄, 시멘트에 국한되었으나 이번 계획은 태양광, 배터리, 전기차 등 민간 기업 중심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이번 공급측 개혁은 과거처럼 물리적 생산능력 감축을 강행하기보다
[NH투자증권=이은상 연구원] 2025년 수주 실적과 신사업의 방향성 등을 감안 시 건설업종 내 최선호주로는 현대건설[000720]을, 차선호주로는 GS건설[006360]을 제시한다. 금리 인하, 재정 투입, 수도권 공급 물량 감소 등 업황 반등을 의미하는 시그널들이 감지되고 있다. 다만 시그널과 건설 수주 확대 간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관점(6M~12M)에서 올해 수주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 ″최선호주는 현대건설″ 1분기 수주 가이던스 달성률은 GS건설 33%, 현대건설 30%, HDC현대산업개발 23%, 삼성E&A 21%, 대우건설 20%, DL이앤씨 12%이다. 1분기 기준 GS건설과 현대건설의 수주 실적은 양호하며 2분기 실적 발표 내용 중 기업별 수주 달성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로 2025년 수주 가이던스와 기업별 지난 5년(2020~2024년) 평균 수주 실적 간 괴리율은 GS건설 3%, 현대건설 3%, HDC현대산업개발 22%, 삼성E&A 15%, 대우건설 14%, DL이앤씨 11% 등이다. 다만 HDC현대산업개발은 붕괴 사고 후 발생한 시공사 해지분, 대우건설, DL이앤씨는 2024년 부족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