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UP=설옥임 기자] 경기도에 소재를 두고 있는 A건설이 불법 로비 의혹에 휩싸였다. 의혹의 핵심은 설계용역 협력업체인 B건축사무소를 통해 골프, 유흥, 뇌물 등 로비자금을 조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의혹은 <팩트UP>의 위크 제보창 제보를 통해 알려졌다.
<팩트UP>에 게재된 ‘[제보] A건설, 협력업체인 건축사무소 통해 로비자금 조성’에 따르면 A건설은 B건축사무소를 통해 각종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심의위원을 포섭하는 과정에 들어가는 로비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서울에 본사를 뒀던 전국구 건설사”
A건설에서 20년간 근무했다는 C씨는 “A건설 오너는 B건축사무소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하고 이를 로비자금으로 이용하고 있다”면서 “설계 용역비를 최소 2배에서 3배 정도 과다계상 한 후 페이백 받는 구조로 운영하고 있다”고 폭로했다.
그는 이어 “오너의 잘못된 행태를 바로 잡고 남아 있은 후배들이 정정당당하게 일을 할 수 있는 회사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제보를 한다”며 “아무쪼록 오너의 불법행위를 취재하고 세상에 알려 더 이상 편법이 난무하지 않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 제보의 내용은 사실일까.
<팩트UP>에선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다각도로 확인 취재에 들어갔다. 그 결과 제보 내용 중 일정 부분 사실과 가깝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혹의 중심에 선 A건설은 도급순위 60위권대를 차지하고 있는 건설사로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지방 건설사로 분류되지만 설립 시점에는 서울에 본사를 뒀던 전국구 건설사로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쉽게 A건설이 시공한 아파트를 발견할 수 있을 정도다.
A건설은 한 때 한국 건설업계의 거물로 이름을 날렸으나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그룹 전체가 유동성 문제를 겪으면서 기업 오너가 두 차례 바뀌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재 오너가 불법 로비 의혹에 휘말린 것이다.
<팩트UP> 취재에 따르면 사실 A건설의 불법 로비 의혹이 나온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A건설과 D건설 등 두 개의 건설사를 보유하고 있는 E회장은 지난해까지 좋은 영업실적을 가져온 임직원을 교체했다.
그런데 이들이 다른 경쟁사로 스카웃 되며 평소 관리하던 심의위원들도 그들이 옮긴 회사를 밀어줬고 이에 따라 A건설은 최근 진행된 수주경쟁에서 세 차례 고배를 들었다. 이들 공사 규모는 2000~5000억대였다.
◆“설계용역비 껑충껑충, 수주실적도 껑충”
<팩트UP>은 취재 과정에서 A건설이 서울 서대문구에 소재를 둔 B건축사무소와의 유착관계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들 회사 간 거래내역을 보면 A건설의 수주 실적이 좋은 해에 거래금액이 급등했던 것이다.
<팩트UP>에서 입수한 A건설과 B건축사무소의 거래내역을 보면 2022년 9억원대에서 이듬해 12억원으로 오르더니 2024년에는 50억원대로 껑충 뛴다. E 회장이 소유하고 있는 D건설도 이 건축사무소와 거래하고 있는데 거래내역을 보면 2022년 6000만원대에서 2023년과 2024년 13억원대로 급증했다.
업계에선 이 같은 거래내역에 대해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설계용역 대금이 이 정도로 급증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A건설이 각종 수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대학교수들 중심의 심의위원을 포섭하는 과정에 들어가는 골프, 유흥, 뇌물 등 로비자금 등을 B건축사무소를 통해 조달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다만 E 회장이 B건축사무소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하고 이를 로비자금으로 아용하는데 설계 용역비를 초소 2~3배 튀겨 과다계상 한 후 페이백 받는 구조로 운용했다는 부분에 대해선 확인할 수 없었다. 이 영역은 사정당국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건설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A건설의 경우 지방건설사임에도 2023년과 2024년 수주경쟁에서 갑자기 우위를 점하며 수도권 소재 현장만 10개를 차지했다”며 “수주전에서 로비가 들어갔을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관계자는 이어 “최근 세 차례 고배를 마신 E 회장은 잔뜩 뿔이 나 있는 것으로 전해 들었다”면서 “업계 일각에서는 A건설 오너의 행태를 볼 때 당연한 결과라는 공통된 시각을 보이고 있다”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