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이창민 연구원] 이달부터 지난 12일 (현지시간), 미국 관세국경보호국이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공지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메모리, 반도체 장비 등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품목들은 지난 5일부터 발효되었던 10%의 기본 상호관세도 면제된다. 이번 조치를 통해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관세 부담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관세율 부담이 컸던 중국산 비중이 절대적인 애플에 대한 우려가 대폭 완화될 전망이다. ◆ ″애플향 업체 강한 수혜 전망″ 애플의 국가별 스마트폰 생산 비중은 중국 80%, 인도 14%, 베트남 5% 등으로 파악된다. 전체 판매량의 30% (2024년 기준)가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애플이기에, 가장 비중이 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 145%는 애플의 심대한 타격을 전망케 하는 요인이었다. 그러나 대중 관세가 현실적이지 못한 (터무니없는) 수치였기 때문에 오히려 애플의 관세 면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KB증권은 예상했고(4월 10일 완화된 관세 우려, 어쩌면 애플도...?), 결국 애플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PC 등 주요 전자기기 전반에 대한 면세 조치가 시행
[KB증권=이창민 연구원] 2차전지 소재 산업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당장 펀더멘털의 개선이 눈으로 확인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올해 연말까지 지속될 전방 수요 부진은 2025년 상반기 들어 점진적 회복세로 전환되고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실적 반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커버리지 2차전지 소재 6개사의 2025년 연결기준 합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6%,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05% 개선(4070억원→2조1000억원)될 것으로 추정된다. 전방 수요 회복으로 가동률이 개선되면서 이에 따른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 ◆ ″2025년 EV 배터리 수요 전년대비 +19% 전망″ 2025년 전기차 출하량 1949만대(전년대비 +13%, 침투율 21.3%)를 전망한다. 전기차용 2차전지 수요는 2025년 1076GWh, 2026년 1225GWh를 거쳐 2030년 3923GWh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차의 대당 배터리 탑재량은 BEV 기준 2024년 74kWh에서 2030년 90kWh로 개선될 전망이다. 추정에 있어 중점적으로 고려한 사항은 2025년부터 강화되는 EU의 CO2 배출 규제와 이에 따른 전기차 밀어내기, 금리 인하로 진작될 소비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