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정지윤 연구원] 화장품섹터는 하반기 수출중심의 성장가도를 달릴 것으로 전망한다. 관련해 매출 기대치 상향과 밸류에이션 프리미엄도 지속될 것으로 본다. 하반기 실적 성장을 이끌 부문은 단연 수출이다. 한국화장품 산업은 미국, 일본, 베트남, 태국등 非중화권으로의 수출이 건강하게 지속 확대되고 있다. 최근 3년간 중국, 홍콩을 제외한 非중화권 수출금액 비중은 2022년: 49%에서 2023년 61%로, 2024년 4월 누계 66%를 달성했다. ◆ ″화장품업종, 건강한 글로벌 수출 모멘텀″ 특히 미국向 스킨케어 카테고리 수출금액의 고성장이 눈에 띈다. 2024년 4월 누계 99% 성장했고, 국가비중도 19% 상승했다. 실제 Amazon.com 세럼 카테고리 상위 랭킹 내 한국인 디브랜드(코스알엑스, 조선미녀, 아누아, 믹순, 스킨1004, 구달)가 다수 포진하고 있다. 따라서 2024년 하반기에도 수출 중심의 매출 성장이 업종 전반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지지할 것으로 판단한다. K-인디브랜드 강세로 2023년 한국화장품 책임 판매업자 수는 3만1524개로 최근 3개년 CAGR+17% 성장한 모습이다. 이는 곧 제조업체당 생산하는 브랜드와 품목 수가
[KB증권=김동원 연구원] 애플은 차기 운영체제인 iOS 18에 챗GPT 기능을 탑재하기 위해 오픈AI와 최종 계약을 추진 중인 것으로 5월 12일 블럼버그를 통해 전해졌다. 또한 같은 날 NYT에서는 애플은 6월 개최 예정인 세계개발자컨퍼런스(WWDC 2024)에서 챗GPT가 적용된 음성비서 시리(Siri)를 공개할 것이라고 보도됐다. ◆ ″iOS 18, 챗GPT 탑재 가능성 확대″ 애플은 오픈AI, 구글, 엔트로픽 등과 AI 모델 협력을 논의 중이다. 애플의 폐쇄적 생태계와 복잡한 보안 기준 등을 고려할 때 애플은 자체 디바이스에 적용될 SLM(소형언어모델)의 경우 애플 AI 모델에서 직접 담당하고 클라우드 기반 AI는 구글 제미나이(Gemini)와 제휴해 외부 LLM (거대언어모델) 적용이 예상된다. 6월 WWDC 2024, 시리(Siri) AI 공개 애플은 6월 개최되는 세계개발자컨퍼런스(WWDC 2024)에서 생성형 AI 지원에 초점을 맞춘 iOS 18을 공개하고 시리 (Siri) AI는 두 가지 형태의 LLM으로 구동될 전망이다. 시리(Siri) AI는 클라우드 기반이 아닌 자체 하드웨어 기기에서 온디바이스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AI 처리 속도가
[SK증권=한동희 연구원] 글로벌 빅테크들의 실적 발표 및 컨퍼런스콜의 주된 내용은 ′AI 강세 지속′이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업체 대만 TSMC는 2024년 글로벌 파운드리 및 메모리를 제외한 반도체 성장률 가이던스를 하향한 가운데 자사의 가이던스는 유지했고 북미 CSP들은 AI향 CapEx 전망치를 상향조정했다. TSMC의 12M Fwd. EPS 컨센서스가 지속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AI 전망 상향이 일반 수요의 하향을 상회하는 구간이다. 또한 애플 역시 6월 WWDC에서 AI에 대한 로드맵의 구체화를 예고했다. ◆ ″HBM 경쟁 심화에도 공급 부족 지속 전망″ 연중 HBM 공급 지속을 전망한다. D램 3사의 2024년 말 TSV Capa는 전년 말 대비 16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HBM3e 8, 12hi로의 Tech transition에 따른 가중평균 수율 저하 및 GPU 당 HBM 채용량 증가(H100 대비 H200 80%, B100 140% 등)와 AI 서버 출하량 증가 (+50~70% 전년 대비)를 감안하면 초과공급 가시성은 낮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HBM 경쟁 심화에도 가격 프리미엄 축소 가시성은 낮을 전망이다. 마이크론, 삼성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지정학적 이슈는 2024년 지속될 것이다. 다만 단기적으로 하마스의 이스라엘 휴전 협상 제안 검토, 이란의 이스라엘 선박 선원 석방 등 단기 유가 안정화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 석유화학 시황은 혼조세이다. 다만 주요 다운스트림 업체는 1분기 실적 전반 호조이며 2분기 또한 성수기+환율효과 부각이 예상된다. 다운스트림 화학업체의 실적은 업스트림 NCC 업체 대비 견조하나 단기 저점 매수 가능 구간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최우선주로는 효성첨단소재[298050], KCC[002380], 금호석유[011780], 효성티앤씨[298020], 유니드[014830] 등을 제시한다. ◆ ″단기적으로 정유업체의 모멘텀 약화″ 2024년 지정학적 이슈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나 단기적으로 하마스의 이스라엘 휴전 협상 제안 검토, 이란의 이스라엘 선박 선원 석방 등 단기 유가 안정화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유가 급등으로 인한 휘발유, 등/경유 등 제품 수요 부담이 관찰되고 최근 정제마진 약세를 통해 이를 확인했다. 중국의 석유제품 순수출 확대, 나이지리아/카타르 등 신규 증설 물량 출회 등도 정제마진 약세의 배경이다. 단기적으로 정유업체 주가 모멘
[NH투자증권=류영호 연구원] 본격적인 실적이 시작됨과 함께 ASML/TSMC가 기대 이하의 실적과 시장 전망을 발표하자 테크 업체들의 전반적인 주가 조정이 발생했다. 특히 슈퍼마이크로의 잠정실적 미발표는 그동안 안전하다고 생각되었던 AI 투자심리에도 부정적이다. 지난주Winner는 삼성전자 HBM 공급 가능성과 함께 HBM 관련 업체들. Loser는 AI 관련 업체들과 AI시대의 최대 수혜주로 평가받았던 IP 업체들이다. 이번 주는 주요 미국 빅테크 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있는 만큼 CSP업체들의 CAPEX 동향, Texas Instrumets의 현재 수요 및 산업 코멘트, 인텔의 데이터센터/PC시장 전망, SK하이닉스/웨스턴 디지털의 메모리 업황, 주요 장비 업체들의 전망 확인 필요이다. 시장은 확신을 갖기 위한 근거를 찾기 전까지 높아진 눈높이를 조정하는 시간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금주부터 시작되는 빅테크 업체들의 실적과 가이던스가 중요한 변곡점이다. ◆ ″Renesas, 2014년 가동 중단된 공장 재가동 준비″ 지난 2014년 10월 폐쇄한 야마나시현 고후공장을 9년 6개월 만에 재가동했다. 고후공장은 폐쇄 전에는 PC에 들어가는 전원용 반도체를 주
[유진투자증권=허재환 연구원] 중동 지역 지정학적 위험과 미국 금리 상승(달러 강세)으로 글로벌 증시가 시름에 잠겨있다. 코스피는 지난 3월 26일 2,757pt 이후 -5.4% 하락하며 지난 2월 6일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 앉았다. 코스닥 지수는 4월에만 -8% 하락했다. 원달러는 2022년 11월 이후 최고 수준인 1400원대에 거의 육박했다(장중 1399원). 원화가 약하다. 피할 대안이 많지 않다. 그렇다고 국내외 증시가 극단적으로 하락하지도 않았다. ◆ ″주식 변동성 극단적이지 않아″ 원화 약세에 둔감하거나 원화 약세 국면에서 실적이 상향되는 업종이 대안이다. 원달러 변화(전년대비 증감)에 대한 분기별 영업이익 민감도를 계산해 보면 2020년 이후 자동차, 호텔레저, 필수소비 업종이 (+) 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반도체, 유틸리티, 철강 업종 영업이익은 악화됐다. 금리/환율 모두 불안하다. 안정적인 투자가 쉽지 않다. 이럴 때는 원화 약세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업종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접근에 국한할 필요가 있다. 코스피는 지난 3월 26일 2,757pt 이후 -5.4% 하락하며 2월 6일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 앉았다. 코스닥 지수는 4월에
[KB증권=김동원 연구원] 소비자와 접점을 갖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디바이스 종류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 1월 CES 24에서 삼성전자가 스마트 반지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 ′갤럭시링′ 출시를 공식화했고 애플도 스마트 반지 출시를 위한 관련 특허를 지속 출원하고 있다. 스마트 반지는 반지의 센서가 활동량, 심박수, 수면 패턴 등을 측정해 착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기기다. 특히 스마트 반지 전문 제조사인 ′오우라(OURA)′ 제품이 이미 100만 개가 팔렸다는 소식이 투자자들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재 오우라의 스마트 반지는 색상에 따라 350~550 달러의 가성비 갖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한편 MWC 24에서 주목을 받은 ′Humane AI′의 인공지능 웨어러블 기기 ′AI 핀′은 10만 개의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 Humane AI의 웨어러블 기기 가격은 699달러의 가격으로 알려져 있다. ◆ ″반지의 제왕을 노린다′″ 최근 Open AI의 GPT-5와 같은 차세대 생성형 AI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 디바이스 확산은 ′양질의 데이터′ 확보라는 장애물을 해소하면서 AGI(범용인공지능)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AGI 구현이 어렵
[SK증권=설용진 연구원] 은행주는 밸류업 프로그램 관련 기대감이 확대되던 지난 1월 말부터 KOSPI 지수를 매수의견(Outperform) 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다만 밸류업 관련 기대감을 제외할 경우 마진 하락 및 건전성 관련 비용 부담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이익 측면의 모멘텀은 여전히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금융당국이 5월부터 부실 부동산 PF를 정리할 계획을 제시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저축은행⸱캐피탈⸱증권사 등 제 2금융권 자회사들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충당금 적립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다고 판단한다. ◆ ″밸류업 기대감에 가려졌으나 여전히 업황은 부진″ 마진의 경우 대출 금리 하락 및 고금리 정기예금 리프라이싱 영향이 복합적으로 반영되며 대체로 지난해 4분기와 유사한 수준이 예상된다. 원화대출은 하반기부터 기준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인 성장 수요가 집중되며 양호한 성장을 전망한다. 탑라인 측면의 이익 모멘텀이 제한적인 만큼 실적의 주요한 원인(Key Factor)는 대손비용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4분기 중 대규모 선제적 비용 반영 등을 감안하면 연간 기준으로 2023년 수준의 부담이 발생하지는 않겠지만 잠재적인 건전성 관련
[유안타증권=이환욱 연구원] 작년 한 해 미디어⸱콘텐츠 업종 주가 부진 요인은 )국내 TV 광고 시장의 유례없는 침체, 지난 수년간(2019~2021년) 증가했던 글로벌 OTT향 오리지날 콘텐츠의 수요 정체 및 감소, 美작가⸱배우 파업 여파로 인한 해외 제작 자회사 실적 악화로 요약된다. 올해도 광고 부진, 오리지날 콘텐츠 수요 약세 기조 예상되나 저점 매수 타이밍 역시 다가온 시점이다. 실적 턴 어라운드는 해외 콘텐츠 시장 정상화에서부터 시작한다. ◆ ″실적 턴어라운드에 주목하자″ 작년 한 해 이어진 美 작가⸱배우 파업이 종료됨에 따라 올해 국내 기업이 보유한 美 제작 자회사의 콘텐츠 공급량이 대폭 늘어난다. 기저 효과가 크게 날 수 있는 부분이다. 또 K-콘텐츠의 방영권 수요는 견조하게 증가할 공산이 큰 상황인데 이 역시 오리지날 IP 판매 대비 마진폭이 크다는 매력이 있다. 국내 OTT 시장에서도 기회가 포착된다. 1인당 구독 플랫폼 수는 증가 추이이며 글로벌 OTT 1위 넷플릭스의 침투율은 타 국가 대비 낮은 수준으로 국내 2~3위 업체의 성장 여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올해 실적 개선세가 가장 클 것이라 판단되는 CJENM[035760]을 업종 내
[하나증권=김홍식 연구원] 통신서비스업종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유지하지만 단기 4월 통신서비스업종 투자 매력도는 ′보통′으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다. 물론 2024년 연간 실적 전망 및 최근 규제 상황으로 보면 통신주를 적극 매수할 시점은 아니다. 하지만 지난해 낮은 기저로 2024년 1분기 실적이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양호한 수준으로 발표될 전망이며 기대배당수익률에 자사주매입 효과를 따져보면 업종 대표주인 SKT가 극단적인 저평가 상태라 상승 기회가 있다는 판단이다. ◆ ″4월 투자매력도 ′보통′으로 상향″ 가치주 부상 흐름에 SKT[017670]가 새로운 주도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 3월 중순 이후 가치주가 자사주 매입 소각⸱고배당⸱저PER 종목 위주로 슬림화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통신업종 내에서도 실제 자사주 매입 소각이 유력하고 높은 기대배당수익률이 예상되며 낮은 PER을 기록하고 있는 SKT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4월에는 통신 이슈가 많은 편이다. 3월 주총 이후 발표될 밸류업 프로그램 계획, 2024년 1분기 실적 프리뷰, 통신사 AI 전략과 차세대 네트워크 도입 논의, 시행령 개정 이후 번호이동시장 동향, 스테이지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