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강성진 연구원] 현대차그룹의 12월 중국 포함 글로벌 도매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2% 증가한 57만1000대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전망을 5.2% 하회한 것이다. 현대차의 중국 포함 글로벌 도매판매대수는 33만대로 기존 예상을 8.4% 하회했고 기아의 글로벌 도매 판매는 24만1000대로 기존 예상을 0.5% 하회했다. 예상을 하회한 12월 판매 실적은 양사 영업이익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각 사의 대당 공헌이익 (ASP-대당 변동비)에 대한 기존 가정치를 단순 적용할 경우 현대차와 기아 판매대 수의 예상대비 차이는 각각 -2571억원과 -110억원의 영업이익 추정치 변경요인에 해당한다. ◆ ″현대차그룹 판매 전년 동 월대비 2.2% 증가″ 업체들 간의 자율주행 개발 격차가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율주행차량 사고에 대한 자동차업체의 사고 보고 의무를 폐지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시는 일정 도로 테스트와 안전 기준을 충족한 자율주행차의 도로 주행을 허용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지능형 도로 인프라를 지원하고자 한다고 발표했다. 테슬라는 2025년 초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선
[KB증권=강성진 연구원] 2분기 실적 시즌에는 항공사들의 실적 호조가 눈에 띌 전망이다. 대한항공[003490]과 제주항공[089590]의 2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시장 컨센서스를 27.5%, 77.5% 상회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대한해운[005880]의 영업이익은 각각 시장 컨센서스를 17.0%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팬오션[028670]과 CJ대한통운[000120]의 영업이익은 대체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한다. ◆운송업종 투자의견 ‘상향’ 항공여객 사업은 예상보다 강한 업황을 보여주고 있다. 항공사들이 빠르게 국제선 운항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빈 좌석이 거의 없다. 또한 저수익 승객인 환승객이 좌석을 채우는 비중도 빠르게 하락했다.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항공사들은 가격 할인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의 여행소비지출 전망은 점차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어 당분간 여객 수요 호조가 예상되는 반면 항공사들은 팬데믹 기간 중 줄여 놓은 항공기 대수를 다시 늘리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잉(Boeing) 등 항공기 제작사들의 항공기 제작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호적인 여객 업황 덕에 제주항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