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중국의 유기실리콘(DMC) 수요는 2021년 118만톤에서 2025년 209만톤으로 CAGR +15% 성장할 전망이다. 참고로 2024년은 전년 대비 +21% 성장했고, 2025년은 전년 대비 +15% 성장이 예상된다. 유기실리콘(DMC)의 주요 전방인 건설⸱건축 업황 부진에 따라 수요 성장률이 낮을 것이라는 시장의 오해를 뒤집는 결과다. DMC는 실록산, 실리콘오일, 실리콘고무, 실리콘겔 등 최종재의 중간 원료다. ◆ ″기존에 없었던 신규 수요 창출 중″ 중국이 전기차⸱배터리, 태양광, ESS의 급속한 시장 확대를 기반으로 세계 최대의 전기화 국가(Electrostate)로 성장하면서 해당 최종재의 사용처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즉, 실리콘은 열전도성⸱절연성⸱내구성이 우수해 전기화 과정에서 필수인 열 관리용 소재로 사용되며 기존에 없었던 신규 수요를 창출 중이다. CATL의 Cell-To-Pack 기술이 적용된 차량은 셀과 냉각판 사이의 열전도를 위해 실리콘 소재가 활용되며 설계 특허에서도 배터리 팩 충격 흡수와 밀폐 성능 구현을 위해 실리콘 고무를 사용한다. CATL의 ESS 모듈에서도 열 관리, 커넥터 밀봉용, 갭 필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고부가 유기실리콘(Silicone) 산업은 Top 5가 과점 중이다. 일본 Shin-Etsu, 미국 Dow, 독일 Wacker, 한국 KCC(Momentive), 노르웨이 Elkem이 전체 시장의 80~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노르웨이 Elkem은 1분기 실적발표에서 실리콘 사업의 매각 가능성을 거론한 이후, 2분기에는 해당 사업부가 현재 중단사업인 만큼 ′매각 예정 자산′으로 분류했다고 언급했다. 2025년 말 이전을 목표로 전략적 검토를 현재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 ″경쟁력 갖추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최근 뚜렷한 EBITDA 마진율 개선(2Q23 -11% → 2Q24 +1% → 2Q25 +6%)에도 불구하고 사업부 매각을 검토한 이유는 ′경쟁력 개선의 한계′ 때문이다. 실리콘은 자동차, 생활용품, 의료용, 건설/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전방마다 요구하는 물성이 세분화되어 있어 대부분 특허로 보호되어 있다. 실제 KCC(모멘티브)는 전신이 GE로 전 세계에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출원된 특허만 3400개 이상(최근 10년 간 1868건)이다. Elkem은 이렇게 강력한 특허를 뚫고 고부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정제마진은 WoW +1.3 달러로 소폭 반등했다. 석유화학은 납사가격 약세에도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석유화학 제품별로는 LDPE +4%, 천연고무 +3%, SBR +2%가 눈에 띈다. 특히 천연고무 가격은 전고점 돌파하며 약 3년 이래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업종 최선호주로는 금호석유[011780], KCC[002380], LG화학[051910], 유니드[014830], 효성첨단소재[298050] 등을 꼽는다. ◆ ″해당 태양광 업체들 미국 내 증설 계획 마련″ 미국의 반덤핑 및 상계관세(AD/CVD) 유예가 6월 6일로 만료됨에 따라 동남아 4개국에서의 중국업체의 생산 중단이 목격되기 시작했다. 중국의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인룽기 친환경 에너지 기술(ONGi Green Energy Technology, 이하 룽기)은 최근 1~2주 사이 베트남에서 5개 생산라인을 중단한 이후 말레이시아 공장 또한 가동중단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회사는 연초 이후 가격 급락과 무역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공장의 생산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라고 밝혔고, 트리나 솔라(Trina Solar)는 태국과 베트남에서 생산시설 폐쇄 중인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지정학적 이슈는 2024년 지속될 것이다. 다만 단기적으로 하마스의 이스라엘 휴전 협상 제안 검토, 이란의 이스라엘 선박 선원 석방 등 단기 유가 안정화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 석유화학 시황은 혼조세이다. 다만 주요 다운스트림 업체는 1분기 실적 전반 호조이며 2분기 또한 성수기+환율효과 부각이 예상된다. 다운스트림 화학업체의 실적은 업스트림 NCC 업체 대비 견조하나 단기 저점 매수 가능 구간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최우선주로는 효성첨단소재[298050], KCC[002380], 금호석유[011780], 효성티앤씨[298020], 유니드[014830] 등을 제시한다. ◆ ″단기적으로 정유업체의 모멘텀 약화″ 2024년 지정학적 이슈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나 단기적으로 하마스의 이스라엘 휴전 협상 제안 검토, 이란의 이스라엘 선박 선원 석방 등 단기 유가 안정화 요인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유가 급등으로 인한 휘발유, 등/경유 등 제품 수요 부담이 관찰되고 최근 정제마진 약세를 통해 이를 확인했다. 중국의 석유제품 순수출 확대, 나이지리아/카타르 등 신규 증설 물량 출회 등도 정제마진 약세의 배경이다. 단기적으로 정유업체 주가 모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