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이재일 연구원] 지난 6월 15일, 현대차 인도법인은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에 기업 공개를 위한 신청서를 제출했다. 신청서에는 현대차가 보유한 인도법인 주식 17.5%를 시장에 공개 매각할 계획이 담겨 있다. 세부 사항은 아직 미정이나 IPO를 통한 현대차의 총 조달 규모는 약 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됨에 따라 인도 증시 최대 규모 IPO였던 Life Insurance의 24억6000달러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시장 가치는 아직 미지수″ 30억 달러 규모의 IPO를 역산하면 시가총액은 약 171억 달러(23조7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초기 언급됐던 30~40조원 대비로는 작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적정 시장가치 대비 할인해 IPO를 진행하는 게 드문 일은 아니다. 또한 현재 언급되고 있는 조달 규모 역시 추정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시장 가치가 그 이상이 될지 그 이하가 될지 아직은 미지수이다. 현대차 인도 법인의 시가총액 23조7000억원 가정 시, 현대차 주가는 현재 주가 대비 약 18.8%(약 10조5000억원)의 추가 상승 효과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 자동차 시장 1위 메이커인 마루티 스즈키(MSIL.
[팩트UP=권소희 기자]‘호국보훈의 달’인 6월을 맞아 자동차 업계가 국가를 위해 헌신한 유공자와 그 가족들을 위해 다양한 이벤트를 마련했다. 지프는 6월 한 달간 국가 유공자, 군인, 소방공무원, 경찰공무원 등을 위한 특별 혜택을 제공한다. 이달 30일까지 유효한 국가보훈증 또는 군인·경찰·소방공무원증을 소지한 자와 그 직계가족 중 SUV ‘레니게이드’와 ‘더 뉴 랭글러’를 출고하는 대상자에게 최대 210만 원가량의 현금을 지원한다. 더 뉴 랭글러의 경우 트림에 따라 174만~209만 원, 레니게이드의 경우 113만 원의 혜택이 제공된다. 방실 스텔란티스코리아 대표는 “험로를 넘나들며 군수물품을 나르던 지프의 DNA가 지금까지 이어져 ‘SUV 원조’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는 근간이 되어주고 있다”며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뿐만 아니라 현재도 국가를 위해 각자의 소명을 다하고 있는 분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아 특별히 마련한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다. KG모빌리티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6월 한 달간 차종별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스페셜 페스타’를 시행한다. 프로모션을 통해 토레스 EVX, 티볼리와 코란도, 티볼리 에어 등 차종별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
[팩트UP=권소희 기자]젊을 때부터 꾸준히 근육을 모아놓는다는 의미의 ‘근테크(근육+재테크)’ 열풍이 불면서 단백질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과거 단백질 식품은 운동인들이 즐겨 찾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건강한 일상을 위해 꾸준히 근육을 저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근테크 열풍에 합류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식품업계에서도 더욱 다양한 종류와 맛의 고단백 제품으로 단백질 시장에서 경쟁 중이다. 지난해 국내 단백질 시장 규모는 4000억원을 넘어섰으며 이는 2018년(800억원) 이후 5년만에 5배가량 성장한 수치다. 정식품은 최근 고단백 두유에 스페인산 초콜릿을 더해 깊은 초코의 풍미와 풍부한 단백질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베지밀 고단백 두유 초코’를 선보였다. 제품은 한 팩(190mL) 당 식물성 단백질 12g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일반 우유 2팩, 달걀 2개에 해당하는 양이다. 영양과 맛의 밸런스를 알맞게 맞춰 단백질 음료 특유의 텁텁한 맛은 줄이고 부드럽고 진한 초콜릿 맛을 가득 담았다. 남녀노소 모두에게 선호도가 높은 초콜릿의 부드럽고 진한 맛에 로우슈거 저당설계로 부담 없이 맛있게 단백질을 보충할 수
[팩트UP=설옥임 기자]직장인 10명 중 4명은 연장근로 시간을 포함한 주당 최대 근로 시간 상한을 최대 4시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월 2∼13일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9일 밝혔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2.5%는 '적절한 주당 최대 근로 시간 상한'에 대해 '48시간'이 적절하다고 답했으며 '52시간'(35.2%)이 그 뒤를 이었다. 근로 시간 상한을 52시간보다 늘려야 한다는 응답은 22.3%에 그쳤다. 적절한 1일 최대 연장 근로 시간 상한을 묻는 문항(하루 8시간을 기본 근로 기준)에는 '2시간'(총 10시간)이 5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루 8시간 이상 연장근로를 해도 된다는 응답은 6.2%였다. 직장갑질119는 지금보다 노동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취지의 이 같은 설문 결과와 달리 직장인 36.3%가 조기 출근, 야근, 주말 출근 등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초과근무를 하는 직장인 중 39.1%는 주당 평균 6시간 이하, 35.5%는 6시간∼12시간을 더 일하고 있
[하나증권=윤재성 연구원] 정제마진은 WoW +1.3 달러로 소폭 반등했다. 석유화학은 납사가격 약세에도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석유화학 제품별로는 LDPE +4%, 천연고무 +3%, SBR +2%가 눈에 띈다. 특히 천연고무 가격은 전고점 돌파하며 약 3년 이래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업종 최선호주로는 금호석유[011780], KCC[002380], LG화학[051910], 유니드[014830], 효성첨단소재[298050] 등을 꼽는다. ◆ ″해당 태양광 업체들 미국 내 증설 계획 마련″ 미국의 반덤핑 및 상계관세(AD/CVD) 유예가 6월 6일로 만료됨에 따라 동남아 4개국에서의 중국업체의 생산 중단이 목격되기 시작했다. 중국의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인룽기 친환경 에너지 기술(ONGi Green Energy Technology, 이하 룽기)은 최근 1~2주 사이 베트남에서 5개 생산라인을 중단한 이후 말레이시아 공장 또한 가동중단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회사는 연초 이후 가격 급락과 무역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공장의 생산 계획을 조정하는 것이라고 밝혔고, 트리나 솔라(Trina Solar)는 태국과 베트남에서 생산시설 폐쇄 중인
[팩트UP=설옥임 기자]세대간 조직 내 갈등이 밈으로 희화화 되거나, 커뮤니티 사연으로도 빈번하게 찾아볼 수 있는 요즘 실제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세대차이’는 어떨까.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대표 황현순)이 직장인 2,236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세대차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5.9%가 ‘세대차이를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세대차이를 느끼는 대상자는 전반적으로 사원급(35.6%)이 높았고, 임원급(23%), 부장급(16%), 대리급(11.5%) 등의 순이었다. 다만, 직급별로 세대차이를 느끼는 대상자가 달랐는데, 사원급의 경우 같은 ‘사원급’(26.9%)에게 가장 세대차이를 많이 느꼈다. 윗세대보다 동시대 동료끼리 일을 하면서 세대차이를 더 느끼고 있는 것이다. 대리급의 경우 ‘부장급’(28.8%), 과장급 이상은 모두 ‘사원급’(평균 44.2%)과 주로 세대갈등을 겪고 있었다. 세대차이를 크게 느끼는 상황은 조직에 대한 이해도였다. 세대차이를 느끼는 응답자의 45.2%(복수응답)가 ‘일과 삶 분리, 조직 헌신에 대한 견해가 다를 때’ 갈등을 많이 경험했고, 이어 ‘관심사나 일상적인 대화 주제가 다를 때’(34.5%), ‘각자의 경험과 사고방
[SK증권=한동희 연구원] 오는 3분기부터 D램 3사의 2025년 실적 가시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한다. 일반 수요의 더딘 회복에도 불구하고 AI 수요 강세에 따른 북미 클라우드제공사업자(Cloud Service Provider)들의 CapEx(자본적 지출)에 대한 톤업 지속으로 TSMC의 12m Fwd. EPS(주당순이익)는 역사적 고점을 경신했고 SK하이닉스 역시 빠르게 접근 중인 상황이다. AI 수요 강세 및 이번 AI 사이클에서의 HBM에 대한 중요성과 기술 중심의 경쟁, 기술 난이도 급증에 따른 수율 저하, 제한적 전공정 투자 속 Commodity capa loss(원자재상품 생산능력 손실)에 따른 가격 반등세를 감안하면 2025년 HBM 계약은 3분기 중 마무리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한다. ◆ ″분기별 메모리 증익 지속″ HBM 및 원자재상품 업황 관점에서 삼성전자의 역할이 중요해지는 국면이라고 판단한다. AI 강세 지속에서 HBM 공급 부족 상황과 단기적 SK하이닉스 및 마이크론의 추가 대응 여력 제한을 감안하면 삼성전자의 HBM 시장 진입 자체의 명분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원자재상품 업황 관점에서 삼성전자의 HBM 시장 진입 본격화는
[팩트UP=설옥임 기자]중소기업중앙회는 최저임금 수준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기업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최저임금 관련 애로실태 및 의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61.6%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인하 또는 동결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최저임금 인상 ▲사회보험료 인상 ▲공휴일의 유급휴일화 등 늘어나는 인건비로 인해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비용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심의를 시작한 2025년도 최저임금에 대해 중소기업의 61.6%가 인하 또는 동결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이어서 2~3% 인상(23.5%), 1% 내외 인상(8.7%) 순이었다. 최저임금 인하 또는 동결 응답은 연 매출액 10억 미만 기업에서 68.0%, 서비스업에서 64.5%로 조사됐다. 중소기업들은 경영환경을 악화시키는 주된 고용노동 요인으로 최저임금 인상(64.8%), 사회보험료 인상(39.5%), 구인난(27.7%), 공휴일의 유급 휴일화(22.5%)를 꼽았고, 80.3%는 현재 경영상황 대비 올해 최저임금(9,860원)이 부담되는 수준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서비스업에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는
[팩트UP=권소희 기자]즐겁게 건강관리를 하는 헬시플레져 트렌드가 지속되면서 ‘몸에 좋은 음식은 입에 쓰다’라는 말은 옛말이 됐다. 최근 식품업계는 바쁜 일상 속 건강을 챙기면서도 맛까지 놓칠 수 없는 소비자를 위해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 맛과 풍미는 높이면서도 단백질, 식이섬유 등 영양성분은 더하고 당, 나트륨은 줄여 업그레이드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정식품은 최근 고단백 두유에 스페인산 초콜릿을 더해 깊은 초코의 풍미와 풍부한 단백질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베지밀 고단백 두유 초코’를 선보였다. ‘베지밀 고단백 두유 초코’는 부드럽고 진한 초콜릿 맛을 가득 담아 단백질 음료 특유의 텁텁한 맛을 줄여 인기를 끌고 있다. 제품은 한 팩(190ml) 당 일반 우유(5.7g) 또는 두유(6g) 대비 약 2배 많은 식물성 단백질 12g을 함유했으며 필수 아미노산 BCAA와 칼슘, 5종의 비타민 B군과 비타민 D군까지 영양도 균형 있게 채웠다. 또 저당 설계로 부담 없이 언제 어디서나 맛있고 간편하게 마실 수 있다. 동원F&B는 간편하게 발라먹는 영양간식 ‘동원참치 스프레드’ 신제품 2종(체다치즈, 갈릭마요)을 출시했다. 이번 동원참치 스프레
[팩트UP=설옥임 기자]기업 열 곳 중 일곱 곳(68.3%)은 급속한 저출산‧고령화의 진행으로 조만간 인력부족, 내수기반 붕괴 등과 같은 경제위기가 도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가 도래할 가능성이 없다는 응답 비중은 7.5%에 불과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매출액 1,000대 기업 인사노무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기업 인식조사’(모노리서치 의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응답 기업들은 이대로 저출산․고령화 속도가 유지될 경우 평균 11년 이내에 경제위기가 닥칠 것으로 전망했다. 세부 응답으로는 ‣6~10년 42.7%, ‣11~15년 25.6%, ‣16~20년 13.4%, ‣1~5년 12.2% 순으로 조사됐다. 저출산․고령화가 기업에 미칠 영향 중 가장 우려스러운 부분에 대해 응답 기업의 절반(45.8%)은 원활한 인력 수급의 어려움을 꼽았다. 뒤를 이어 ‣시장수요 감소에 따른 매출 하락(19.2%), ‣인력 고령화에 따른 노동생산성 저하(17.5%), ‣인구구조 급변 및 시장변화에 따른 사업구조 변경의 어려움(15.0%) 순으로 답했다. 한편, 기업들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력부족 문제가 평균 9